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1세기 한국어정책과 국가경쟁력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1. 11. 18. 12:57

본문

 

 한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접근과 경쟁력 탐구

   21세기 한국어정책과 국가경쟁력

   저자 : 김희숙 (청주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

 

현재 한국어 환경은 최소한 세 가지의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물론 모든 언어 환경은 변화해왔고 이에 따라 언어도 달라져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에 전개되는 상황은 그 규모와 빠르기가 이전과 사뭇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언어가 세계화되고 있다. 이전까지는 한 언어가 지배하는 영토가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과 거의 일치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 언어는 특정 지역을 벗어나 전 세계로 독자적으로 그 영토를 넓힐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물론 한국어를 비롯한 모든 언어들이 세계화될 수 있지만, 이의 선두주자는 역시 영어다. 영어는 거의 모든 나라 사람들이 배우고자 하는 언어가 된지 오래고, 모국어를 버리고 이를 공용화하려는 시도마저도 있다. 이에 따라 영어를 제외한 우리말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방어적인 입장에 처할 수밖에 없으며, 영어에 대응하여 어떤 조치나 정책을 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들 언어사회에서 형성되고 있다. 둘째, 전 세계적으로 다문화사회화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합법적 이민은 더 이상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지 않지만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이유로 모국을 떠나 다른 곳에서 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주류사회로의 통합이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후진지역에서 선진지역으로의 이주흐름이 가장 뚜렷한 가운데 한국경제의 발전에 따라 한국사회도 다문화사회의 초입에 접어든 증거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인종과 살아온 문화가 다른 집단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겪는 가장 큰 걸림돌이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한국어를 익히는 것이다. 이들 집단에 한국어를 얼마나 잘 가르칠 수 있는지에 따라 한국사회의 미래가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데 대해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셋째, 인터넷을 비롯한 디지털 매체가 보편화되고 있다. 인터넷은 정보화 사회를 가능하게 했고 새로운 경제적 기회 또한 가져 왔다. 덕분에 21세기 정보의 도움 없는 부()의 창출은 더 이상 꿈꿀 수 없는 일이 되어 버렸다. 그런데 이런 놀라운 잠재력을 갖고 있는 새로운 매체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가장 크게 제기되는 우려는 정보화 사회가 보이는 속도를 인간이나 인간사회가 따라갈 수 없다는 데 있다. 여기에는 언어도 속한다. , 새로운 언어표현이 시시각각 생겨나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만큼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만 사용되던 표현들이 신문, 방송, 출판 등과 같은 다른 매체를 통해서 그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따라서 기존 언어와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 태어난 새로운 언어표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문제가 모든 언어사회에서 중요한 현안이 될 수밖에 없다. 새롭고 빠르게 변화하는 언어표현들에 일일이 대응하여 표준적인 대안을 주는 것이 현명한지 또는, 그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맞는지 또는 그냥 방임(坊任)하는 것이 타당한지가 과제가 되고 있으며, 자타가 공인하는 정보화에 있어서 최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사회에 있어 특히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위에서 말한 세 가지 언어 환경 변화에 한국어사회가 대처할 수 있는 방법 곧, 언어정책을 다루었다. 1부는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2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한국어 관련 정책을 펼칠 수 있는지를 이야기 하였다. 3부에서는 저자가 그 동안 발표한 영어논문들 중에서 이와 관련성이 깊은 글, 2장만 모았다. 이는 독자가 번역을 하면서 한국의 언어정책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리라고 생각한다.

차례 ˙ ˙

머리말 ······················································································ 3

1부 이론편

1 21세기 변화하는 한국어 환경과 언어정책 ························ 11

2장 한국적 사회언어학의 정립 ··············································· 30

3장 한국사회 영어사용 확대반대론의 언어학적 논점 ············· 46

4장 성()씨로 본 한국어로마자표기 반성 ······························ 80

<전략탐구-1> ················································································ 110

2부 실제편

5장 한국어의 세계적 전파: 믿음인가? 가능성인가? ············ 119

6장 한국어 경쟁력과 비대칭 영어공용화론 시장원리문제 ···· 152

7장 또 다른 세계화 접점인 ‘국어문화원’의 전략 ·················· 189

8장 “인터페이싱(interfacing)”언어를 이용한 새로운 한국어교육 ·· 224

9장 브랜드로서의 한국어와 ‘스토리텔링’을 위한 서설 ········· 248

<전략탐구-2> ················································································ 265

<전략탐구-3> ················································································ 272

3부 국제편

10 Which one is the better strategy for the export of Korean

culture ············································································· 281

11 Officialized English in the Korean Society and Language

Contact Theory ······························································· 309

<전략탐구-4> ················································································ 335

색인 ······························································································ 339

 

18,000 원 ㅣ342쪽 ㅣ 2011 11월 ㅣ ISBN 978-89-93454-52-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