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수법 초급1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1. 4. 11. 13:48

본문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수법 초급1

부록 : 226장의 그림과 사진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삽화CD

 

정가 15,500 총 페이지 200 ISBN : 978-89-93454-44-4

발행일 2011 3 21

저자 소개

라 혜 민 : 선문대학교 한국어교육원장

(미국 Unification Theological Seminary 종교교육학 석사. 멀티화인테크 CD-Rom 교재 연구교수. 한일문화교류협의회(PWPA) 회원)

김 순 우 : 선문대학교 교양대학교수

                            

 

 

책 소개

한국어교육을 하는데, 문법을 제대로 가르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수 방법에 관해 체계적으로 설명한 책이 나왔습니다.

 교안으로 사용 하시게끔 매 주마다 가르쳐야 할 항목을 표시하여 실제 사용이 가능한 책입니다.

더군다나 수업 중 사용 가능한 삽화와 사진CD가 부록으로 되어 있어서, 수업에 많은 도움을 주게끔 만들었습니다.

-------------------------------------------------------------

 

1970년대부터 서서히 일기 시작한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은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 개최 이후 급격히 증가했고, 한류라는 큰 흐름으로 인해 놀라운 증가세를 이루었다.

한국어교육 학습자 층도 한국과 한국어에 관심이 있어서 배우던 일반 학습자에서 학문목적을 위한 학습자,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민자 등으로 다양해졌다. 그만큼 학생 수가 많아졌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한국어교사에 대한 수요도 크게 늘었다. 그리하여 대학 내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시작한 한국어교사교육은 이제 대학원과 학부에서도 담당할 정도로 아주 다양해졌다.

한국어교사교육에서 교육생들이 한국어를 직접 가르쳐 보는 실습 시간에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분야가 문법 수업일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분야 또한 문법이다.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수법 초급I, II』의 출판 동기는 초급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문형을 가르칠 때 어떻게 가르치면 좋은지 그 교수 방법을 마련해서 한국어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있다. 또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도 한국어 문형을 정확히 이해시켜 한국어 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두 권의 책에서는 총 80개의 문형을 다루고 있는데, 초급에서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문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한국어 자모 교수’에서부터 시작해서 80개의 문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물론 판매되고 있는 교재마다 문형 제시 순서가 조금씩 다르겠지만 가능하면 선수학습을 이용해서 다음 문형을 가르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 예비지식 단계: 교사가 목표 문형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문형의 의미와 특성 및 참고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2. 도입 단계: 목표 문형을 학습자에게 도입하는 단계이다. 도입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목표 문형의 쓰임을 추측하고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알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다. 목표 문형이 쓰이는 도입 상황을 대화문이나 관련 사진 등으로 제시하였다.

3. 제시 단계: 공부할 문형 틀을 제시하고 도입에서 사용한 예문을 제시한다. 예문을 제시할 때는 받침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그리고 불규칙 활용 등 참고해야 할 예문들을 제시하였다.

4. 연습 단계: 학습자들이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교체 연습, 응답 연습 등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5. 활용 단계: 목표 문형을 교실 상황에서 재미있게 활용하고 의사소통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인터뷰 활동, 정보 채우기, 노래, 게임 등 다양한 활동 방법을 제시하였다.

6. : 목표 문형을 가르칠 때 필요한 교구재에 대한 정보나 목표 문형을 가르치면서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1. 모 음                                                      2. 자 음

3. 받 침                                                      4. []입니다, []입니까?

5. [],[]ㅂ니다/습니다, [],[]ㅂ니까/습니까?               6. []/

7. []                                                      8. []

9. []/                                                   10. []/

11. []에서                                                   12. []예요/이에요, []예요/이에요?

13. []/가 아니에요                                         14. []

15. [],[]아요/어요/여요, [],[]아요/어요/여요?             16. [],[]지 않아요

17. ‘ㄹ’탈락                                                     18. ‘ㄷ’불규칙

19. ‘으’탈락                                                     20. 숫자(한자어)

21. 숫자(하나, , ...)                                          22. [],[]았어요/었어요/였어요

23. ㅂ 불규칙                                                   24. ㅅ 불규칙

25. []/                                                    26. []고 싶다

27. [](시간)                                                 28. []ㅂ시다/읍시다

29. []ㄹ까요/을까요?                                           30. []에게

31. []에게서                                                   32. [],[]

33. []ㄹ 거예요/을 거예요                                      34. []/이나

35. [],[]                                                  36. 존댓말

37. []세요/으세요                                              38. []지 마세요

39. []/으로                                                  40. []면서/으면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