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능력인증시험대비문제해설집-우리말과 글의 힘
한겨레 신문 연재 (2008~2010)
허재영 지음
크라운 판형 | 224쪽 | 13,500원 | 2010년 11월 11일 펴냄
ISBN 978-89-93454-38-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책소개
두껍고 복잡한 책이 아닌, 한 권으로 끝내는 국어능력인증시험(TOKL, KBS한국어능력시험) 준비서!
실전문제를 통한 이론 습득과 국어 기본 능력 향상을 목표로 만든 이 책은, 기존의 복잡한 이론 중심의 책들과는 다른 지향점을 둔다.
읽기, 쓰기, 듣기, 어법, 이해, 논리, 사고 등의 각 단원에 가장 적합한 문제를 골라내어 자세한 설명으로 수험생들의 기본 능력을 높였고, 바로 이어지는 보충문제로 보다 완벽한 이해를 더하였다.
국어 발전과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과 관련된 ‘국어 기본법’에 적합한 국어능력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그리고 국민의 국어 능력을 향상하고 나아가 국어 발전을 위한 기획 아래, 2008년 2월부터 2010년4월까지 한겨레 신문은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을 마련하여 연재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들을 모아서 펴 낸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목차
독해능력
1. 독해 과정과 어휘의 쓰임새..................10 2. 비유 언어의 이해..............................12
3. 지시어와 대용 표현...........................14 4. 글 속의 중심 단어 찾기......................16
5. 문단의 관계 파악하기........................18 6. 글의 구조와 독해 능력.......................20
7. 이해하며 읽기와 범주화.....................22 8. 요약하기의 원리...............................24
9. 숨은 뜻과 추론하기...........................26 10. 글의 흐름 예측하기.........................28
11. 논리적 사고를 위한 전제 찾기............30 12. 논리적 추론과 오류.........................32
13. 비판적으로 읽기.............................34 14. 글쓴이의 관점이나 태도 알기.............36
15. 견주어 읽기...................................38 16. 설명적인 글에서 용어의 쓰임 앍기......40
17. 설득하는 글의 의도와 목적................42 18. 감상적 독해와 수용 능력...................44
19. 이야기에서 인물의 행동 읽기.............46 20. 울림과 깨침의 문학 작품 감상............48
쓰기능력
21. 내용 생성 원리...............................52 22. 자료 모으기와 정리하기....................54
23. 내용 조직의 원리............................56 24. 도표나 자료를 활용한 글쓰기.............58
25. 글의 진술 방법...............................60 26. 어휘를 적절하게 사용하기.................62
27. 개념을 바르게 정의하기....................64 28. 분석과 통합...................................66
29. 일반화의 원리................................68 30. 일반 원리를 적용하기......................70
31. 글 다듬기의 일관성 전략....................72 32. 문단 사이의 유기성 전략...................74
33. 글 다듬기와 통일성 전략....................76 34. 단어와 문장 차원의 다듬기................78
35. 창조적으로 변형하기.......................80 36. 내용 이어쓰기................................82
37. 다양한 쓰기 전략............................84 38. 시사적인 글쓰기.............................86
39. 생활 체험을 살려 쓰기......................88 40. 상상력과 이야기 덧붙이기.................90
말하기, 듣기능력
41. 말하기의 유형과 태도......................94 42. 대화의 원리와 걸림돌......................96
43. 다양한 말하기의 전략......................98 44. 말하기에서 청자의 수용 능력........... 100
45. 담화 표지와 말 다듬기.................... 102 46. 상황에 맞는 화제 고르기................. 104
47. 공감을 유도하는 말하기.................. 106 48. 호칭어와 지칭어 바르게 쓰기........... 108
49. 토론의 자세와 사회자의 역할........... 110 50. 면담의 기법 ................................ 112
우리말 알기와 가꾸기
51. 우리말의 특징을 이해하기............... 116 52. 국어의 구조 알기.......................... 118
53. 의미 변화와 쓰임새 알기................. 120 54. 속담과 관용 표현에 나타나는 사회 모습... 122
55. 국어 알기와 국어 가꾸기................. 124 56.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 126
57. 우리말 어휘의 특징 알기................. 128 58. 화자의 태도가 드러나는 말.............. 130
59. 높임 표현 바르게 쓰기.................... 132 60. 우리말 글에 담긴 뜻....................... 134
61. 문법 형태소의 생성과 변화.............. 136 62. 사동 표현과 피동 표현.................... 138
63. 장면과 심리 표현.......................... 140 64. 능력과 의지에 따른 부정 표현.......... 142
65. 지역과 사회에 따라 다른 말............. 144 66. 관계를 드러내는 말....................... 146
67. 번역 표현을 우리말답게 쓰기........... 148 68. 전통 예술과 말놀이....................... 150
69. 남북한의 언어 통합....................... 152 70. 우리말과 문학어........................... 154
문학과 문화
71. 가치 있는 체험으로서의 문학........... 158 72. 문학과 현실 인식.......................... 160
73. 성숙의 과정으로서 문학 읽기........... 162 74.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과 가치 .......... 164
75. 작품을 감상하는 주체적 안목........... 166 76. 문학 작품과 해석의 다양성.............. 168
77. 작품의 화자와 인물....................... 170 78. 고전을 읽는 태도.......................... 172
79. 전통의 계승과 창조....................... 174 80. 문학 작품 속의 진실....................... 176
81. 문학적 상상력과 작품 감상 ............. 178 82. 장면의 상상력.............................. 180
83. 작품 속의 인물과 심리.................... 182 84. 문학적 상징의 의미....................... 184
85. 작품 속의 심리와 삶의 방식............. 186 86. 섬세한 읽기와 작품 감상................. 188
87. 인문 정신과 언어 예술의 관계.......... 190 88. 풍속화에 담긴 뜻.......................... 192
89. 공연 예술과 국어 문화.................... 194 90. 민중의 삶과 노래.......................... 196
[정답과 풀이] ................................... 198 [붙임] 국어능력정책과 국어능력시험....... 213
----------------------------------------------------저자 소개 허 재 영 : 현재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교육조교수. 건국대학교 졸업, 문학박사.
대표 저서 : 「국어 쓰기교육의 변천과 발전」(2010, 소통)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2008, 보고사)
「국어 변화와 국어사 연구」(2008, 소통)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2009, 경진)
「근대계몽기 어문정책과 국어 교육」(2010, 보고사) 그밖에 국어 문법사, 국어 교육사 관련 논문이 다수 있음.
머리말
이 책은 『한겨레신문』에 연재했던 글을 묶은 책이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이라는 이름으로 연재를 시작한 때가 2008년 2월이었는데, 2010년 4월까지 연재를 하였으니 2년 2개월이나 지속된 셈이다. 사실 신문에 글을 쓰는 것은 몹시 부담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신문 칼럼의 특성상 분량의 제한이 심할 뿐아니라 간혹 냉정하고 지적인 독자를 만날 때에는 심한 비판을 감수해야 할 때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매우 오랜 시간 칼럼을 맡을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독자의 격려와 교열부의 노력 덕분일 것이다. 국어과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로 ‘모국어 화자의 국어능력’은 또 하나의 관심사가 되었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국어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배우지 않아도 아는 것, 노력하지 않아도 잘 쓰는 것이 국어라고 막연히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만들어진 때에도 널리 퍼져 있었던 듯하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국어의 모습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말을 하고 들으며, 읽고 쓰는 능력이 하루아침에 형성되는 것은 아님에도 그다지 애써 공부하지 않아도 알고 있는 것, 아니 알아야 하는 것쯤으로 여기는 경향이 짙다.‘국어능력교실’을 연재할 때에는 이러한 안타까움이 컸었다. 다행스럽게도 ‘국어기본법’이 제정·공포되었고,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능력시험’도 몇 종류가 생겨났다. 시험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국어를 알아야 사회생활이 가
능하다.’라는 명제 아래, 어떻게 해야 국어를 유창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연재했던 글을 한 권의 책으로 묶는다.
허재영 지음, 크라운 판형 | 224쪽 | 13,500원 | 2010년 11월 11일 펴냄
ISBN 978-89-93454-38-3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수법 초급1 (0) | 2011.04.11 |
---|---|
언어교육 이론에 비추어 본 한국어교육 교재와 연구 (0) | 2011.04.11 |
국어 쓰기교육의 변천과 발전 (0) | 2010.09.09 |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0) | 2010.02.11 |
동영상으로 배우는 한국어 첫걸음 (0) | 201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