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어의 어휘와 문화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3. 1. 18. 09:51

본문

한국어의 어휘와 문화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론)

 

 

 

 

정가 16,000 총 페이지 278

판형: 변형신국판(172*225)

ISBN : 978-89-93454-68-0-93710

발행일 2012 1219

 

저자 소개

이준희(경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신호철(경기대 국제교육원 한국어 주임교수)

이현희(고려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책 소개

본서는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의 어휘와 문화에 대해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기획되었다.

그 동안 한국어 어휘 학습서는 어휘집, 어휘 분류집, 어휘 목록 등의 형식으로 어휘에 대한 뜻풀이나 용법을 제시하고 이를 간단하게 점검하는 방식이 대종을 이루었다. 이러한 체계 하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어휘의 단편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대학에 진학하고자 한다는 ,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이 모국으로 돌아가 한국어의 홍보 대사 역할을 한다는 등을 고려하면 이제는 단편적 어휘 교육에서 통합적 어휘 교육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 하겠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서는 기존의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한국어 어휘의 체계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한국어 어휘론에 대한 이론을 충실하게 반영하였다. 이는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인 체계를 명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휘 전반에 걸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2. 다양한 학습 활동을 제시하여 실제 교실에서 학습자와 교사가 활용할 있도록 하였다. 기존 연습 문제 방식의 학습서와는 다르게 학습 활동을 어휘 학습의 주요 장치로 두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활동 중심의 학습서를 지향하며 동시에 어휘 학습이 듣기나 말하기, 읽기나 쓰기 등과 통합적으로 운용되어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들의 사고력을 신장하기 위함이다. 다만 활동의 분량이 정해진 수업 시간 안에 소화하기에 많은 감이 있으나 이는 주제에 대해 최대한 다양한 방식의 활동을 제시하고자 것이므로 교실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하면 것이다.

3. 과의 마무리 부분에 10개의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목록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 제시된 어휘 빈도 순으로 정리한 것을 추린 것이다. 어휘의 원어 정보와 뜻풀이를 제시하는 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돋보기 정보를 제시하였다. 해당 어휘와 관련한 유의어나 연어 정보 학습자가 해당 어휘를 다른 어휘들과 연동하여 학습할 있도록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서의 부록으로 고급 어휘 목록 5,000개를 제시하였다. 역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 제시된 고급 어휘 목록에서 빈도 순으로 정리하여 중에 일상적인 외래어 등을 제외한 것을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일러두기

 

본서는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 2부는 5 학습자, 3, 4부는 6 학습자의 학습 내용이다. 본서의 구성 체계와 구성 요소들의 기능과 학습 방법을 도식화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 체계 및 요소

기능

학습 방법

도입

학습 목표

과의 학습 내용 길잡이와 주요 학습 목표 제시

과의 학습 길잡이와 학습 목표로 분리되어 있어 분리하여 필독하기

전개

본문

과의 학습 내용 설명과 예시

본문 설명과 예시의 어휘 중심 독해하기

날개

본문 내용의 주요 어휘 풀이

읽기 과정 날개 부분의 어휘 풀이 참고하기

본문 내용 관련 주요 문법 사항 정리

정리된 문법 내용을 참고 설명하기

학습 활동

본문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할 있는 학습 활동

관련 어휘 학습을 위해 활동 중심 학습하기

조별 활동

조별 활동이 가능한 활동 표시

개별 활동과 조별 활동으로 구분하여 활동하기

마무리

정리하기

본문의 핵심 내용 정리

내용 정리를 통하여 학습 내용 체계화하기

어휘익히기

고급 어휘 목록 10 제시

고급 어휘 익히기, 사전적 의미 예문, 용법 설명 익히기

돋보기

어휘의 뜻풀이 이외의 용법 정보 등을 제시

해당 어휘의 용법 이해와 어휘 적용으로 확장하기

어휘점검표

고급 어휘 목록에 대한 이해 정도를 위한 자기 점검 표시 장치

제시된 어휘 목록의 학습 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자기 점검하기

쉬어가기

본문 학습 내용과 관련된 읽을거리, 볼거리 제시

관련 내용 활동을 통해 학습 활동 쉬어가기

부록

어휘 목록 5000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고급 어휘 목록 5,000 제시

고급 어휘 목록을 참고하여 어휘 확장하기

 

                                                                            

목차

1 한국어의 어휘와 단어

1. 한국어의 어휘 13

1.1. 어휘의 개념 13

1.2. 한국어 어휘의 특징 14

1.3. 한국어의 어휘 분류 16

2. 한국어의 단어 25

2.1. 형태소와 단어 25

2.2. 단어의 구조 27

2.2. 파생어와 합성어 28

2 한국어 어휘 학습

3. 어휘 학습(1):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3.1. 한국어의 3 체계 43

3.2. 고유어와 한자어 44

3.3. 외래어 47

4. 어휘 학습(2):표준어와 방언 59

4.1. 표준어와 방언 59

4.2. 지역 방언의 유형과 실례 60

4.3. 사회 방언의 유형과 실례 61

5. 어휘 학습(3):높임 표현, 의성어와 의태어 71

5.1. 높임 표현 71

5.2. 의성어와 의태어 73

6. 어휘 학습(4):관용 표현과 속담, 신어 85

6.1. 관용 표현과 속담의 개념 85

6.2. 관용 표현의 형성과 86

6.3. 신어의 개념과 실제 89

7. 어휘 학습(5):상황에 따른 표현의 차이 101

7.1. 명사와 명사의 세기 101

7.2. 형용사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103

7.3. 부사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105

7.4. 접속 표현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107

8. 어휘 학습(6):전문어, 사전 115

8.1. 전문어의 개념과 유형 115

8.2. 사전과 사전의 활용 116

3 한국어의 어휘 학습 방법

9. 어휘 학습 방법(1):연상을 통한 어휘 학습 129

9.1. 연상의 개념 129

9.2. 연상의 종류 130

9.3. 연상을 통한 어휘 학습 방법 131

10. 어휘 학습 방법(2):어휘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 142

10.1. 어휘장(낱말밭) 142

10.2. 어휘장의 분류 144

10.3. 어휘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145

11. 어휘 학습 방법(3):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 154

11.1. 의미 관계 154

11.2. 의미 관계의 종류 155

11.3.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158

4 한국 문화와 어휘

12. 한국의 전통문화와 어휘 169

12.1. 한국의 명절 169

12.2. 한국의 잔치 171

12.3. 한국의 민속놀이 173

13. 한국의 생활 문화와 어휘 185

13.1. 한국의 의생활 185

13.2. 한국의 식생활 187

13.3. 한국의 주생활 189

14. 한국인의 정신 문화와 어휘 198

14.1. 한국인의 정신과 한국어 어휘 198

14.2. 멋과 201

14.3. () 우리 203

14.4. 신과 () 205

15. 인터넷 문화, 소통 그리고 한국어 어휘 212

15.1. 한국 인터넷의 발전 212

15.2.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통 213

15.3. 인터넷 문화를 통해 등장한 새로운 어휘 215

참고문헌 223

[부록] 고급 어휘 목록 5,000 232

 

정가 16,000 총 페이지 278 판형: 변형신국판(172*225) ISBN : 978-89-93454-68-0-93710

발행일 2012 12 1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