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_이정복_2017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7. 6. 13. 13:02

본문

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

 저자 : 이정복(대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7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ISBN: 979-11-86453-41-4 93700
발행일: 2017년 2월 20일 판형: 변형신국판, 498쪽 정가: 24,000원
 

 영국 언어학자 David Crystal은 ≪언어 혁명≫에서 21세기의 세 가지 언어 혁명 중의 하나로써‘인터넷을 통한 언어 사용'을 언급했 다. 사회적 소통망(SNS)는 인터넷 언어 사용의 중심 요소로 등장하 였고 언어 사용의 패턴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스마트폰의 일상적 활용으로 인터넷, 특히 SNS에 접속하여 읽고 쓰는 시간이 더 길어 져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양적 변화가 나타났다. 맞춤법 의식 및 어문 규범에 대한 태도 변화, 새말의 대량 발생과 확산, 기존 단 어와 문법의 변형과 재창조, 말놀이의 생활화와 재미 위주의 언어 사용 일상화 등 언어 사용과 구조에서 여러 가지 큰 변화가 진행되 고 있다.   이 연구는 SNS가 등장함으로써 한국어 화자들의 언어생활에 어떠 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새로운 언어문화의 등장이라는 관 점에서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통신 문화가 특히 발달한 한국에서 일상생활과 언어생활에서 중요성이 크게 높아 지고 있는 SNS가 한국어 화자들의 언어 사용 방식, 대인 관계, 삶 의 유지에 어떤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_ SNS 소통 구조와 언어


1_ SNS 소통 구조 / 15


1. SNS 무엇인가? ························ 15


2. 누가, SNS 열광하는가?··················· 25


3. SNS 소통 구조························ 33


2_ 통신 언어 사용 동기와 SNS 공간의 통신 언어 / 49


1. 경제적 동기························· 50


2. 표현적 동기························· 53


3. 오락적 동기························· 62


4. 유대 강화 동기························ 65


5. 심리적 해방 동기 ······················· 70


3_ SNS 통신 언어의 특성과 변화 / 75


1. SNS 이용 목적에 따른 통신 언어의 변이·············· 76


2. SNS 통신 언어의 최근 변모 양상················· 89


2.1 통신 언어는 종결어미 바꾸기에서····················· 90


2.2 인터넷 새말의 꾸준한 등장과 유행····················· 94


2.3 통신 언어가 일상어로 확산, 표준말로 등재·················· 99


2.4 컴퓨터에서 스마트폰으로 무게 중심 이동·················· 108


2.5 그림 글자와 시각 요소의 비중 증가···················· 112


3. SNS 통신 언어의 변화 방향··················· 117


4_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 121


1. 매체의 발달과 언어 사용의 관계················· 123


2.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최근 경향 ················ 132


2.1 인쇄 매체····························· 133


2.2 방송 매체···························· 136


2.3 인터넷 매체···························· 141


3.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 149


4.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 153


2_ SNS 언어문화의 전개 양상


5_ 인터넷 말놀이의 유형과 기능 / 161


1. 인터넷 말놀이 관련 선행 연구 ·················· 163


2. 사회적 소통망 말놀이의 유형·················· 167


3. 사회적 소통망 말놀이의 기능·················· 185


3.1 재미 나누기···························· 186


3.2 심리적 긴장 풀기·························· 188


3.3 정보 전하기···························· 190


3.4 사회 비판하기··························· 192


6_ ‘한다요체’의 확산과 분포 / 201


1. ‘한다요체’의 등장과 확산·················· 202


2. ‘한다요체’의 기능····················· 215


3. ‘한다요체’의 사회언어학적 분포··············· 223


7_ 호칭어를 통한 태도와 정체성 드러내기 / 231


1. 통신 언어 호칭어 연구 검토··················· 232


2. 트위터 호칭어의 쓰임과 기능·················· 235


3. 트위터 호칭어의 쓰임에 대한 통계적 분석············· 251


8_ 지역 방언의 쓰임과 사회언어학적 문제 / 261


1. 인터넷 공간의 방언에 대한 연구 검토··············· 263


2. 인터넷 공간의 지역 방언 사용 실태··············· 269


2.1 방언 사용의 의식성························· 269


2.2 방언 사용의 동기와 기능······················· 273


3. 지역 방언 사용의 사회언어학적 문제··············· 281


9_ 지역 방언에 대한 누리꾼들의 언어 태도 / 295


1. 개별 방언에 대한 태도····················· 296


1.1 경상 방언····························· 297


1.2 전라 방언····························· 301


1.3 제주 방언···························· 303


1.4 중부 방언···························· 306


2. 방언에 대한 전반적 태도···················· 310


2..1 긍정적 태도···························· 311


2.2 부정적 태도···························· 312


2.3 방언 불평등 방언 활용에 대한 태도··················· 317


2.4 인터넷 공간의 방언 사용에 대한 태도··················· 324


10_ 세대 인터넷 소통과 불통 / 329


1. 통신 언어의 세대별 쓰임···················· 332


2. 통신 언어와 관련된 세대별 태도················· 339


3. 세대 의사소통 문제의 원인·················· 346


 


3_ 한국과 중국의 SNS 언어문화 비교


11_ 인터넷 통신 별명 / 363


1. 통신 별명의 개념과 특성···················· 365


2. 구조와 의미 유형에 따른 통신 별명의 분류············ 369


2.1 구조에 따른 통신 별명························ 369


2.2 의미 유형에 따른 통신 별명······················ 374


3. 통신 언어 발생 동기와 통신 별명의 쓰임············· 387


3.1 경제적 동기···························· 388


3.2 표현적 동기··························· 390


3.3 오락적 동기 ··························· 393


3.4 유대 강화 동기··························· 396


3.5 심리적 해방 동기 ·························· 398


4. 한중 통신 별명의 특징 비교·················· 400


12_ 의성어와 의태어 / 405


1. 의성의태어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407


2. 일상어와 인터넷에서 두루 쓰이는 의성의태어··········· 409


2.1 의성어······························ 410


2.2 의태어····························· 420


3. 통신 언어로 활발히 쓰이는 의성의태어·············· 427


3.1 의성어····························· 428


3.2 의태어····························· 433


4. 한중 인터넷 의성의태어의 특징 비교··············· 437


13_ 호칭어 ‘님’과 () / 443


1. ‘님’과 ‘친’의 쓰임과 기능················· 446


1.1 접미사로서의 쓰임·························· 446


1.2 의존명사로서의 쓰임························· 451


1.3 대명사로서의 쓰임························· 455


2. ‘님’과 ‘친’의 세대별 쓰임················· 457


3. ‘님’과 ‘친’ 사용의 공통점과 차이점············· 464


 


참고문헌······················· 470


찾아보기······················· 49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