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Korean Language-culture: Essential Key to Korean LanguageLearning 한국어를 배울 때 알아야 하는 한국의 언어문화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20. 8. 6. 11:27

본문

Korean Language-culture: Essential Key to Korean LanguageLearning 

한국어를 배울 때 알아야 하는 한국의 언어문화 

도서 정보

정가 15,000 총 페이지 185

ISBN : 979-11-86453-86-5  93710

발행일 2020 3 13

판형 172*225

 

 저자 소개   

 

이미향 (李美香)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수

한국어교육을 전공하고 한국어 교재와 표현교육에 주력하여 연구하고 있음. 특히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관심이 크며, 이를 적용한 언어문화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나채근(羅采根)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강사, 한국어교육학 박사문학박사

현대영미소설과 한국문화교육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한국풍류문화를 콘텐츠로 문화교육을 연구하고 있음.

 

엄나영(嚴糯英)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강사, 한국어교육학 박사

한국어교육학 박사. 말하기 교육과 문화 교육에 관심을 두고 연구 중임.

 

김홍매()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

한국어 교재와 문화교육에 관심을 두고, 특히 사회문화적 의사소통능력과 언어문화 교육에 주력하여 연구를 하고 있음.

 

조미향(曺美香)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대구 경신고등학교에서 국어교사로 29년간 근무함. 현직 화가로서의 활동과 더불어 외국인을 위한 한국예술문화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

 

관관(关关)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와 효율적인 한국어 학습법에 관심을 두고 있음.

 

최준혁(崔峻赫)

김천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강사

모스크바국립언어대학교 유라시아언어대학에서 러시아언어학 석사과정을 수학하면서 한・러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를 . 한국어와 한국어문화교육에 관심을 두고 연구함.

 

 

책 소개

언어문화를 담은 그릇이고, 문화를 입은 옷이며, 문화를 비추는 거울이다.

된장찌개가 구수한가? 한국인에게는 그렇다. 그런데 외국인에게 된장찌개 맛은 어떠할까? 그저 짜고 낯선 냄새가 난다고 한다. 만약 된장찌개를 먹어 본 적이 없는 외국인이라면 그 맛에 대한 기본 정보조차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 구수하다는 맛을 설명하기 위해 된장찌개 그림을 쓴다. 이처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친다면서 학습자가 어떤 이들인지를 기본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문화를 담은 책은 많다. 그런데 가르치는 처지에서 문화교육 내용이 선정된다면 타 문화에서 온 학습자는 눈앞에서 순간 미아가 되어 버린다. 그런 경험을 하면서 눈앞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무엇을 가장 궁금해 하는지, 그간 학습 이력에서 놓친 지식은 없는지, 현지 교육 환경에서 배울 수 없었던 것은 무엇인지를 먼저 고려하는 책이 있었으면 좋

겠다고 생각해 왔다.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많이 알고 있는 데도 사용하지 않는 것은 무슨 영문인지 늘 궁금하였다.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언어 사용에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문화교육 책이 필요한 것이리라.

 

5년 전 연구실에 일곱 명이 모여, 이 문제의 실마리를 언어와 문화의 통합에서 풀기로 하였다. 언어는 문화 속에서 태어나고, 그렇게 생성된 언어가 그 사회의 문화를 담아낸다. 문화와 언어가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에 의문이 없다. 그렇다면 어떤 말이든지 그 말을 쓰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사고를 이해하면서 배워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사람들은 서로를 어떻게 부르는가? 빗대는 동물이나 식물은 왜 하필 그것인가? 속담이 보여주는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사고관은 어떠한지? 왜 그 말이 속담에 들어가게 되었는지? 한국의 특별한 표현에서 한국인의 고정관념을 읽어 내고, 감정 표현에서 내면의 진실을 알 수 있는지? 시각·미각·촉각으로 지각되는 상태를 한국인처럼 맛깔나게 표현할 수는 없는지? 이 책에서는 학습자들이 궁금해하는 한국어 표현을 통해 한국사람의 생각과 생활 방식을 공감해 보고자 한다.
 

 

목차    

1장 언어와 문화는 한 몸이다

1. 언어와 문화, 그리고 언어문화   

1) 언어와 문화 

2) 언어문화란 무엇인가?

2. 한국 언어문화의 내용 

1) 언어생활을 보여주는 말 

2) 가치관을 표현하는 말 

2장 호칭어와 지칭어: 그 사람을 뭐라고 부르지?

1. 한국어 호칭어·지칭어의 특징  

1) 호칭어·지칭어의 뜻과 중요성

2) 한국어 호칭어·지칭어에 담긴 인간관계

2. 한국어 호칭어의 유형  

1) 친족 이름으로 부르기

2) 직함으로 부르기

3) 이름으로 부르기

4) 대명사로 부르기

3. 가족 호칭어의 특이한 뜻: 아저씨가 나를 ‘언니’라고 불렀다! 

1) 가족 호칭어의 확장

2) 가족 호칭어 올바로 사용하기

4. 직장에서 쓰는 호칭어 

1) 직함을 가진 사람들

2) 직함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

5. 마무리 

 3  비유와 상징 속의 한국문화: 토끼 같은 자식과 여우 같은 마누라

1. 비유와 상징의 개념 

1) 비유와 상징이란?  

  2) 비유와 상징을 왜 알아야 하는가?

2. 문화에 따른 비유와 상징 

1) 문화별 공통점

2) 문화별 차이점

3.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비유와 상징 표현

1) 동물 관련 표현 

2) 식물 관련 표현 

3) 사물 관련 표현

4. 마무리 

4  속담, 한국문화를 담은 언어코드

 1. 속담과 언어    

1) 속담이란 무엇인가?  

2) 속담의 특징  

3) 속담과 언어문화

 2. 생활을 보여주는 속담 –의식주(衣食住)

1) 식생활  

2) 주생활  

3) 의생활

3. 인간관계를 보여주는 속담 

  1) 부부 사이   

2) 부모와 자식 사이  

3) 가족 외의 관계   

4. 마무리 

5  고정관념, 한국어의 기반

1. 고정관념에 대하여 

1) 고정관념이란 무엇인가?

2) 고정관념과 언어의 관계

2. 색채어를 통해 본 한국인의 고정관념  

1) 색채어란 무엇인가?

2) 색채어의 문화적 의미

3. 마무리

6  감정 언어, 한국인의 생각을 보여주는 표현법

1. 감정이란 무엇인가?

1) 감각과 지각, 그리고 감정

2) 감정과 언어문화의 관계

2. 감정 언어의 유형 

1) 분노를 표현하는 말

2) 기쁨을 표현하는 말 

3) 긴장을 표현하는 말

4) 슬픔을 표현하는 말

5) 두려움을 표현하는 말

3. 한국 문화에서의 감정 표현법 

4. 마무리 

7장 음상(音相), 소리로 보여주는 이미지

1. 음상(音相)이란 무엇인가?

1) 음상의 정의와 특징 

2) 음상과 언어문화와의 관계

2. 한국어에서 음상(音相)의 기능 

1) 음상의 기능과 문화적 배경 

2) 말맛을 바꾸는 음상

3. 감각어에서 본 음상(音相)

1) 색깔로 살펴보는 감각어 – 색채어

2) 맛으로 살펴보는 감각어 - 미각어 

4. 마무리

참고문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