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정보
정가 19,000원
총 페이지 312
ISBN : 979-11-86453-88-9 93710
발행일 2020년 5월 2일
판형 173*246
저자 소개
신명선 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 국어교육학 박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국어 문법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외 다수
장경완
인하대 한국어교육 박사과정, 다문화가정자녀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등
이안용
인하대 한국어교육 박사과정,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등
Liu Yanyan
인하대 한국어교육 박사과정,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오류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등
Liu Yang
인하대 한국어교육 박사과정, 논문: 중국 관광 통역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기본 어휘 선정 연구 등
책 소개
바야흐로 ‘빅데이터(big data)’시대이다. 빅데이터는 이제 일상생활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생활 용어처럼 우리 삶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지식·정보화 사회’라는 캐치프레이즈가 우리 삶을 변화시킬 핵심 요인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 주었다면 빅데이터는 지식과 정보라는 핵심 요인이 어떻게 작동하여 미래를 견인할지를 예측하게 해 준다. 빅데이터 처리와 분석은 현재의 상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전망하고 준비하는 기반이 된다.
문제는 빅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준거와 도구이다. 언어 교육을 연구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수많은 언어 데이터들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까는 늘 큰 고민이었다. 박사 논문 준비 때에는 말뭉치 언어학을 공부했었다. 말뭉치 언어학은 모어 화자의 직감을 보다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보완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언어의 특성에 대한 보다 타당한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어떤 측면에서 빅데이터 분석과 말뭉치 언어학은 실제 의사소통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자료 기반적이고 분석적인 연구 태도를 공통적으로 견지한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서, 특히 광범위한 언어 자료의 처리 방법으로서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다. 어휘에 주목하여 어휘들 간의 네트워크를 파악함으로써 해당 자료가 갖는 특성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게 해 준다. 언어 교육적 입장에서 주목되는 또 하나의 방법은 토픽 모델링 기법이다. 토픽 모델링 기법은 해당 자료의 ‘토픽’을 기계학습을 통해 자동적으로 추출하게 해 주는 기법이다.
이 책은 2019년에 대학원 수업에 참여했던 몇몇 학생들과 함께 한국어교육의 연구 동향을 화법, 읽기, 작문, 어휘, 통합, 문화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책이다. 한국학술정보(KCI)를 검색해 보니 한국어교육 연구는 대략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한국어교육 연구의 맹아기(萌芽期) 정도에 해당하는 듯하다. 각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해 본 결과 대개 2000년대 이후부터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어교육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이제 한국어교육 관련 논저의 수가 엄청나다. 수많은 논문들을 한 개인이 모두 검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광범위한 언어 자료를 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준거와 타당한 분석 도구가 필요하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은 이와 같은 자료 처리에 유용하다. 우리는 이 책에서 한국어교육 관련 논저들에 드러난 어휘를 바탕으로 어휘들 간의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주요 토픽을 추출함으로써 한국어교육의 연구 동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책이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작지만 큰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그간의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이 반드시 한 번은 거쳐야 할 기반 작업일 것이다. 한국어교육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이 책이 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방법
Ⅰ. 화법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Ⅱ. 읽기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Ⅲ. 어휘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Ⅳ. 어휘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Ⅴ. 문화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Ⅵ. 통합 교육
1. 도입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읽기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글쓰기 (0) | 2021.03.31 |
---|---|
비즈니스 한국어 (0) | 2021.03.31 |
Korean Language-culture: Essential Key to Korean LanguageLearning 한국어를 배울 때 알아야 하는 한국의 언어문화 (0) | 2020.08.06 |
예비 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0) | 2020.08.06 |
사고와 표현 (0) |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