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어 교실 수업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5. 11. 20. 15:00

본문

한국어교실 수업의 원리와 실제(개정판)

한국어 교사를 위한 실제 현장 중심의 교실 수업 안내서(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정가 16,000 총 페이지 232  신국판 ISBN : 979-11-86453-01-8 93710 개정판 발행일 201577

(초판 발행일 2012 9 19일 1판 3쇄 발행일 2015 5 21)


저자 소개

조 형 일 (워싱턴 글로벌 유니버시티 교수)-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사 수료

 

책 소개

오랜 교새 양성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사를 위한 실제 교실 수업의 실용적인 현장 팁들


이 책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안내서이자 지침서이다. 한국어 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관련 사항을 총망라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예를 들어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서 예비/초보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바라고 요구하는 교사상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한국어 교사의 개인적인 학습서는 물론 양성과정 또는 한국어교육 전공 과정의 교육 실습 수업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원리를 Ⅰ.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로 구분하였다. 이들 교육 원리마다 세부 원리를 선정하고 한국어 교실 수업에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양상을, 필요한 곳마다, 그림과 함께 설명해 두었다.

 

 교육 원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가 알아야 할 항목들을 영역별로 구분해 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교육의 실제에 관계하는 사항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각 영역마다 범주별 세부 원리를 분석·제안하고 이것이 실제 수업에 적용되는 양상을 기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국어 교사는 이를 읽어가면서 자신의 지식과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방법이 견고하게 맞물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1 교사는 교실 상황을 통합적으로 조정운영하는 전문가다. / 13

2 핵심 내용을,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적당하게 제시해야 한다. / 20

3 설명은 간결하고 쉽게, 단계별로 구성해야 한다. / 28

4 학습자가 적당히 괴로워할수록 수업의 질이 올라간다. / 35

5 학습자의 다양한 질문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 41

6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예문에도 수준이 있다. / 48

7 교육 효과 없는 질문은 할 필요가 없다. / 53

 

.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1 목표 표현의 도입부터 학습자의 정보와 상황을 고려한다. / 61

2 목표 표현(문형)과 어휘는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 69

3 V/A-어미보다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연결 관계에 더 주목한다. / 75

4 형태 입력은 기본형부터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 81

5 목표 표현만큼 연계 표현도 중요하다. / 87

6 목표 표현에 힘주어서, 실제 상황과 함께 제시한다. / 93

 

.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1 기능 영역은 통합을 염두에 두고 영역별로 초점화되어야 한다. / 101

2 듣기는 정보의 즉각적 해석 과정이다. / 107

3 말하기는 정보의 직접 제공 과정이다. / 113

4 읽기는 정보의 주관적 해석 과정이다. / 118

5 쓰기는 정보의 문서화 과정이다. / 124

 

.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1 연습과 활동은 학습자의 몫이다. / 133

2 직접적이고 쉬운 것부터 순서대로 진행한다. / 138

3 보기는 최대한 간단하게, 목표 표현을 강조한다. / 143

4 학습자의 실제 상황과 연계되도록 한다. / 148

5 학습자 수행 전, 반드시 리허설이 필요하다. / 153

6 연습 활동의 유형은 학습자 단계별로 조정한다. / 157

7 모든 학습자가, 적절한 수준에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162

 

.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1 확실성, 타당성, 통일성, 연계성 모든 교육 자료의 원칙이다. / 171

2 교재를 절대적으로, 완전히 믿을 필요는 없다. / 177

3 백 마디의 말보다 한 장의 시각 자료가 더 좋다. / 183

4 어휘 카드와 문형 카드는 가장 효율적인 교육 자료다. / 188

5 판서는 가장 즉각적이고 직시적인 교육 보조 자료다. / 193

6 학습자의 수행 평가를 고려하여 제작-활용한다. / 198

 

.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

1 세심한 교사 언어가 수업을 역동적으로 만들어 준다. / 205

2 또박또박, 어색하지 않게 표준어를 표준 발음으로 말한다. / 210

3 쉬운 것은 신속하게, 어려운 것은 천천히 말한다. / 216

4 틀리기 쉬운, 틀리면서 하게 되는 표현을 고려해서 말한다. / 222

5 몸짓언어에도 수준이 있다. / 22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