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실 수업의 원리와 실제(개정판)
한국어 교사를 위한 실제 현장 중심의 교실 수업 안내서(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정가 16,000원 총 페이지 232 신국판 ISBN : 979-11-86453-01-8 93710 개정판 발행일 2015년 7월 7일
(초판 발행일 2012년 9월 19일 1판 3쇄 발행일 2015년 5월 21일)
저자 소개
조 형 일 (워싱턴 글로벌 유니버시티 교수)-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사 수료
책 소개
오랜 교새 양성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사를 위한 실제 교실 수업의 실용적인 현장 팁들
이 책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안내서이자 지침서이다. 한국어 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관련 사항을 총망라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예를 들어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서 예비/초보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바라고 요구하는 교사상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한국어 교사의 개인적인 학습서는 물론 양성과정 또는 한국어교육 전공 과정의 교육 실습 수업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원리를 Ⅰ.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Ⅱ.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Ⅲ.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Ⅳ.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Ⅴ.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Ⅵ.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로 구분하였다. 이들 교육 원리마다 세부 원리를 선정하고 한국어 교실 수업에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양상을, 필요한 곳마다, 그림과 함께 설명해 두었다.
교육 원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가 알아야 할 항목들을 영역별로 구분해 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교육의 실제에 관계하는 사항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각 영역마다 범주별 세부 원리를 분석·제안하고 이것이 실제 수업에 적용되는 양상을 기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국어 교사는 이를 읽어가면서 자신의 지식과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방법이 견고하게 맞물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1 교사는 교실 상황을 통합적으로 조정․운영하는 전문가다. / 13
2 핵심 내용을,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적당하게 제시해야 한다. / 20
3 설명은 간결하고 쉽게, 단계별로 구성해야 한다. / 28
4 학습자가 적당히 괴로워할수록 수업의 질이 올라간다. / 35
5 학습자의 다양한 질문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 41
6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예문에도 수준이 있다. / 48
7 교육 효과 없는 질문은 할 필요가 없다. / 53
Ⅱ.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1 목표 표현의 도입부터 학습자의 정보와 상황을 고려한다. / 61
2 목표 표현(문형)과 어휘는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 69
3 ‘V/A-어미’보다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연결 관계에 더 주목한다. / 75
4 형태 입력은 기본형부터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 81
5 목표 표현만큼 연계 표현도 중요하다. / 87
6 목표 표현에 힘주어서, 실제 상황과 함께 제시한다. / 93
Ⅲ.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1 기능 영역은 통합을 염두에 두고 영역별로 초점화되어야 한다. / 101
2 듣기는 정보의 즉각적 해석 과정이다. / 107
3 말하기는 정보의 직접 제공 과정이다. / 113
4 읽기는 정보의 주관적 해석 과정이다. / 118
5 쓰기는 정보의 문서화 과정이다. / 124
Ⅳ.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1 연습과 활동은 학습자의 몫이다. / 133
2 직접적이고 쉬운 것부터 순서대로 진행한다. / 138
3 보기는 최대한 간단하게, 목표 표현을 강조한다. / 143
4 학습자의 실제 상황과 연계되도록 한다. / 148
5 학습자 수행 전, 반드시 리허설이 필요하다. / 153
6 연습 활동의 유형은 학습자 단계별로 조정한다. / 157
7 모든 학습자가, 적절한 수준에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162
Ⅴ.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1 ‘확실성’, ‘타당성’, ‘통일성’, ‘연계성’ 모든 교육 자료의 원칙이다. / 171
2 교재를 절대적으로, 완전히 믿을 필요는 없다. / 177
3 백 마디의 말보다 한 장의 시각 자료가 더 좋다. / 183
4 어휘 카드와 문형 카드는 가장 효율적인 교육 자료다. / 188
5 판서는 가장 즉각적이고 직시적인 교육 보조 자료다. / 193
6 학습자의 수행 평가를 고려하여 제작-활용한다. / 198
Ⅵ.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
1 세심한 교사 언어가 수업을 역동적으로 만들어 준다. / 205
2 또박또박, 어색하지 않게 표준어를 표준 발음으로 말한다. / 210
3 쉬운 것은 신속하게, 어려운 것은 천천히 말한다. / 216
4 틀리기 쉬운, 틀리면서 하게 되는 표현을 고려해서 말한다. / 222
5 ‘몸짓언어’에도 수준이 있다. / 228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Korean Writ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0) | 2016.05.10 |
---|---|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2016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0) | 2016.02.12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토론(Korean Debate) (0) | 2015.03.18 |
알토란 한국어 어휘(중고급) (0) | 2015.03.18 |
My Korean Grammar I (알토란 한국어 문법1)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