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정가 16,000원 총 페이지 286
ISBN : 979-11-86453-05-6 93370
발행일 2016년 1월 7일
신국판(152*225)
저자 소개
이영희 (·현 주한미국대사관 외교연수원(FSI) 한국어 교수, ·
현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강사)
저서: 외국인을 위한 재미있는 한자(2004),
아하 한국어1(2011)
논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과
방향(200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의 한자 빈도
연구(2007)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파생어 교육
연구(2008)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한 등급별 한자어의 한자 빈도 연구(2010)
책 소개
이 책은 한국어 어휘교육 중에서도 한자어 교육이라는 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본서의 목표는 한국어 어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자권 학습자들은 고유어를, 비한자권 학습자들은 한자어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한자어 교육은 비한자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절실함을 알 수 있으며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하여 한자어를 확장할 수 있는 교수법과 교재 개발을 1순위로 꼽았다.
그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 사전>에 제시된 한자어를 교육용 한자어로 삼아서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를 산출하여 한자어 학습 목록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자의 조어력을 비롯한 교육용 한자 선정 기준에 따라 교육용 한자를 선정하고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재 개발을 예시하였다. 또한 한자권과 비한자권 학습자들이 한자어 교육에서 공통으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과 별도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한자어 어휘 교수의 방법으로는 유사 의미 관계 고빈도 접사 목록을 이용한 한자어 파생어 교수법, 의미 지도 그리기를 이용한 한자어 교수법, 위치별 빈도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뉴스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한자성어 교수법, 학습 단계별 한자 읽기 교수법 등을 제시하였다. 한자의 조어력 빈도와 위치별 빈도를 이용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마련하고 한자권과 비한자권 모두에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관련 한자어를 확장하도록 교육용 한자어 목록에서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를 산출한 후 학습 목록을 마련하였다.
유사 의미 관계 고빈도 접사를 이용한 한자어 파생어 교수법, 의미 지도 그리기를 이용한 한자어 교수법, 위치별 빈도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등을 제시하였고 실험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한자의 의미와 한자어의 형성 원리를 익히고, 이를 학습 전략으로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한자어의 확장 및 기억에 효과적임을 보였다.
이러한 학습목표를 통한 교육으로 학습자들은 한자 학습을 통해 조어된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를 정확하게 익혀 장기 기억으로 가져갈 수 있었으며 새로운 한자어에 대한 의미 유추 능력도 키울 수 있었다.
-----------------------------------------------------------------------
목차
머리말
1. 서론 ·································· 9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 9
1.2 연구 방법과 절차 / 15
1.3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17
2. 한자어 교육을 위한 기본적 논의 ···················· 32
2.1 용어의 개념과 범위 설정 / 33
2.2 한국어 어휘 체계와 한자어의 특성 / 37
2.3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 / 52
3. 한국어 한자어 교육의 현황 ························ 55
3.1 한국어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현황과 요구도 조사 / 55
3.1.1 국내·외 한자어 교육 기관 / 55
3.1.2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의 한국어 한자교육론 / 60
3.1.3 한자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 / 62
3.2 한국어 교재 분석 / 107
3.2.1 한국어 회화 교재의 한자어 분석 / 107
3.2.2 한자어 교재 분석 / 111
4. 한자어 교육의 방안 ··························· 123
4.1 한자어 교육을 위한 학습 목록 / 123
4.1.1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에 따른 한자어 / 123
4.1.2 교육용 한자 목록 / 135
4.2 언어권별 한자어 교육 내용 / 148
4.2.1 한자권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내용 / 148
4.2.2 비한자권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내용 / 153
4.3 한자어 교재 개발 / 155
4.3.1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 / 155
4.3.2 학습 단계별 교재 구성 / 157
4.4 한자어 교육 방안과 교수법 / 166
4.4.1 수업 지도안의 예시 / 166
4.4.2 한자어 어휘 교수법 / 183
5. 한자어 교육의 효과에 대한 실험적 검증 ················ 215
5.1 연구 방법 / 215
5.2 실험반 어휘 평가의 결과 분석 / 224
5.3 면대면 인터뷰 및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 / 231
5.4 실험 연구에 대한 시사점 / 236
6. 결론 ···························· 239
7. 참고문헌 ······························· 245
선문 한국어 초급(1~3) (0) | 2016.06.23 |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Korean Writing for International Students (0) | 2016.05.10 |
한국어 교실 수업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0) | 2015.11.20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토론(Korean Debate) (0) | 2015.03.18 |
알토란 한국어 어휘(중고급) (0) | 201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