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국어·한국어교육KoreanLanguageEdu.

by 소통 SOTONG 2014. 2. 24. 19:59

본문

 

한국어교육 학술총서3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韓國語 文章 連結 硏究)

 

정가 15,000 총 페이지 320

ISBN : 978-89-93454-76-5-93710

발행일 2013815일 신국판(152*225)

 

저자 소개

松崎 (마쯔자키 마히루)

후쿠오카대학교 전임강사

1997년 니이가타대학교 학사(민속학 전공)

2000년 니이가타대학교 대학원 석사(민속학 전공)

2003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전공)

2011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한국어학 전공)

니이가타대학교, 경희대학교, 대구대학교를 거쳐 현 후쿠오카대학교 전임강사

 

 

 

책 소개

사회의 정보화가 가속화되면서 텍스트가 대량으로 생산됨에 따라 문자 언어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텍스트를 구성하는 문장과 문장의 연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그리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한국어의 문장 연결은 여러 수단으로 인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단의 쓰임 또한 다양하다. 한국어 텍스트의 문장 연결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어의 문법 연구임과 동시에 한국어 텍스트의 이해를 돕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어의 정확한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모색이라 하겠다. 연구는 텍스트 내에서 사용된 지시, 접속, 생략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문장 연결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지시, 접속, 생략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수단이므로 문장을 단위로 하는 연구에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문법적 사항이므로 텍스트의 의미 구성을 논하는 연구에서 다루기도 쉽지 않은 부분이다.

그러나 한국어 텍스트에서 문장이 연결되는 데에는 지시, 접속, 생략이 중요한 기능을 하며, 한국어의 문장의 연쇄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도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어의 문장 연결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라 하겠다.

원활한 문장 연결을 위해서는 인접된 문장 사이에 의미적 정합성(整合性) 문법적 정합성이 모두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의미적 정합성에 결함이 있다는 것은 응집성의 결함을 뜻하기 때문에, 문장 연결이 아닌 문장 나열의 상태가 되어 텍스트가 되지 못한다.

문법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독자는 문법적 결함 때문에 의미파악에 실패할 수도 있다. 간혹 문법적 오류에도 불구하고 추론에 성공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발견하는 경우에는 문장들은 텍스트가 된다고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도 한국어의 문장 규칙을 어기고 있기 때문에 원활한 문장 연결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인접된 문장만은 아닐 것이다.

직전의 선행문장보다 앞에 있는 선행문장과의 관계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텍스트에서 선행되는 여러 문장이 같은 주제에 대해 기술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한 여러 문장을 가리켜 뒤의 기술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텍스트에서의 문장 연결은 단순히 인접된 문장의 관계만 보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정확한 문장 연결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접된 문장에서 범위를 넓혀 선행문장과 후행문장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것이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지시, 접속, 생략의 문장 연결 양상을 텍스트의 넓은 전후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서문에서 발췌)

 ---------------------------------------------------------------

목차

 

1 ····························································· 9

1.1 연구목적 ··························································· 12

1.2 연구 대상과 방법 ················································· 14

1.3 논의의 구성 ························································ 23

2 문장 연결에 대한 선행 논의 ·································· 25

2.1 전통적 국어학에서의 선행 논의 ································· 27

2.1.1 국어학에서의 지시관형사에 관한 선행 논의 ················ 28

2.1.2 국어학에서의 접속표현에 관한 선행 논의 ··················· 34

2.1.3 국어학에서의 생략에 관한 선행 논의 ························ 36

2.2 텍스트 연구에서의 선행 논의 ···································· 40

2.2.1 해외에서의 텍스트 연구 ········································ 40

2.2.2 한국어 텍스트 연구의 선행 논의 ····························· 45

3 지시의 문장 연결 ················································ 51

3.1 후속명사 결합형 지시와 지시관형사 지시 ····················· 53

3.1.1 후속명사 결합형 지시와 지시관형사 지시의 용법 ·········· 53

3.1.2 후속명사 결합형 지시와 지시관형사 지시의 용례 ······ 56

3.2 후속명사 결합형 지시의 문장 연결 ····························· 58

3.2.1 후속명사 결합형 지시의 조응관계 ····························· 58

3.2.2 대체 표현 유형 ···················································· 60

3.2.3 동일어 반복 유형 ·················································· 82

3.2.4 텍스트 지시 ····················································· 98

3.3 지시관형사 지시의 문장 연결 ····································· 107

3.3.1 지시관형사 지시의 조응관계 ···································· 107

3.3.2 선행표현과 후속명사의 의미관계 유형 ··················· 110

3.3.3 지시관형사 지시의 지시관형사 선택 ······················ 126

3.3.4 지시관형사 지시에서의 후속명사 ·························· 140

3.3.5 지시관형사 지시의 선행표현의 위치와 범위 ············· 155

3.4 지시의 문장 연결 ················································ 159

4 접속의 문장 연결 ············································· 165

4.1 ‘그러하-’ 접속표현과 그러하-’ 접속표현의 기능···· 167

4.1.1 ‘접속부사 접속표현 개념 ····························· 167

4.1.2 ‘그러하-’형의 기능 ············································ 173

4.1.3 그러하-’형의 기능 ········································· 186

4.2 접속 단위 연구의 이론적 검토 ································ 190

4.2.1 접속 단위 연구의 쟁점 ······································· 190

4.3 논리 관계 설정 기능의 관점에서 접속 단위 ············ 205

4.3.1 논리 관계 설정 기능 관점에서의 접속 단위 재검토 ······206

4.3.2 논리 관계 설정 기능과 접속 단위 분석 ··················· 216

4.4 접속의 문장 연결 ················································· 242

5 생략의 문장 연결 ·············································· 245

5.1 생략과 문장성분 ·················································· 248

5.1.1 생략이 가능한 문장성분 ······································ 248

5.1.2 ‘반복연구의 성과와 생략의 위치 ··························· 249

5.2 문장성분의 관점에서의 생략 분석 ······························ 251

5.2.1 분석 자료와 분석 기준 ········································· 251

5.2.2 용례 분석 ························································· 256

5.2.3 텍스트에서 생략이 일어나는 문장성분 ······················ 269

5.3 주제어 생략과 주제에 의한 문장 연결 ························ 270

5.3.1 텍스트 생략 ··················································· 271

5.3.2 텍스트 생략 ··················································· 276

5.4 주제어 생략과 주제의 전개 ······································· 278

5.4.1 주제어를 중심으로 결속 ······································279

5.4.2 주제어 생략과 주제의 전개 ····································· 280

5.4.3 주제어의 부재와 주제의 전개 ····································286

5.5 생략의 문장 연결 ···················································· 289

6 ································································ 293

참고문헌 ···································································· 307

색인 ········································································· 317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韓國語 文狀 連結 硏究)

정가 15,000 총 페이지 320 ISBN : 978-89-93454-76-5-93710 발행일 2013 8 15일 신국판(152*225)

 

저자

松崎 (마쯔자키 마히루)

후쿠오카대학교 전임강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