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한국어학 개론-
한국어학의 이해
저자: 조오현 교수(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용경 교수(경동대학교 한국어교원학과),
허재영 교수(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동근 교수(건국대학교 산학연구처)
최근 국어 학자들은 인문학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방법을 응용분야에서 찾으려고 한다. 이는 국어 연구의 영역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기초가 튼튼하지 않은 응용은 모래 위에 쌓은 성처럼 위태롭기 그지없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처음부터 다시 출발하는 마음에서 기획하였다. 국어학자로서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쉽고 간결하며 흥미를 줄 수 있는 기본서를 제공하여 인문학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뜻을 같이하는 글쓴이들은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이 책의 기본 편찬 방향을 정하였다.
첫째, 한국어학에 흥미를 주어 많은 학생들이 한국어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책을 만든다.
둘째, 한국어학에 대한 기본을 충실히 다루며 특정 이론에 편중되지 않고 균형을 갖도록 한다.
셋째, 쉽고 간단하게 써서 한국어학에 대한 기초가 없는 사람들도 스스로 공부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_5
고친 판을 내면서 _7
제1편 총론
제1장 한국어학의 이해 _13
제2장 언어의 특징 _16
제3장 한국어학의 연구 대상 _20
제4장 한국어학의 연구 방법 _22
제5장 한국어의 범위 _25
제6장 한국어의 분야 _27
제2편 말소리
제1장 말소리 일반 _33
제2장 음성학 _38
제3장 음운학 _54
제3편 문법론
제1장 문법론 일반 _99
제2장 형태론 _103
제3장 통사론 _138
제4편 의미론
제1장 의미론의 이해 _141
제2장 어휘 의미론 _163
제3장 문장 의미론 _193
제4장 화용론 _202
제5편 어휘론
제1장 어휘론의 이해 _211
제2장 어휘의 조사 _215
제3장 한국어의 어휘 체계 _221
제4장 한국어의 어휘 범주 _222
제5장 국어사전 _234
제6편 국어사
제1장 국어사 연구의 의의 _247
제2장 국어사의 시대 구분 _249
제3장 한국어의 계통 이해 _254
제4장 고대 한국어의 특징 _249
제5장 중세 국어의 특징 _261
제6장 근대 국어 _270
제7편 문자론
제1장 언어와 문자 _301
제2장 국어 문자의 역사 _311
제3장 훈민정음과 표기법 변화 _325
제8편 방언학
제1장 방언과 방언학 _339
제2장 국어의 지역 방언 _357
제3장 국어의 사회 방언 _366
참고문헌 _373
찾아보기 _378
페이지수: 392P. 정가 :20,000원 발행일 : 2014년 3월 14일 ISBN : 978-89-93454-80-2-9370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예절과 문화 (0) | 2014.11.14 |
---|---|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0) | 2014.04.24 |
한국어 문장 연결 연구 (0) | 2014.02.24 |
SPICY WRITING INTERMIDIATE 맛있는 글쓰기 중급 (0) | 2013.12.12 |
대조언어학 (0) | 2013.12.12 |